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략
- PostgreSQL
- JS
- 오픈워터
- JavaScript
- poe2
- 세부
- 야생의숨결
- guide
- 씨홀스
- hybride
- 뱀파이어서바이벌
- ubuntu
- WebView
- 개발툴
- 엘든링
- window10
- window
- Front-end
- 스쿠버다이빙
- docker
- 취미
- 여행
- 게임
- 다이빙
- 어드벤스
- 페오엑
- psql
- Linux
- 젤다의전설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79)
Rianshin

데이터를 변경할 Redis 파일을 다운 window key+R로 실행창을 열어 services.msc를 입력 실행중인 Redis 서비스 중지 로컬에 설치된 Redis 폴더(C:\Program Files\Redis)에 2.에서 압축해제한 파일 붙여넣기 Redis 재실행(폴더안의 rstart배치를 실행하거나, 4.의 화면에서 시작함선택)

프로젝트및 개발에 유용한 사이트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JSON viewer - http://jsonviewer.stack.hu/ Online JSON Viewer jsonviewer.stack.hu - http://json.parser.online.fr/ Json Parser Online json.parser.online.fr 이사이트는 JSON구조를 보기 쉽게 보여준다. JSON Data의 양이 많을 수록 이사이트 효율성은 높아진다. 개인적으로 나는 http://jsonviewer.stack.hu/ 여기를 더 선호하는데 이유는 View로 볼때 데이터구조를 한눈에 파악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2. Notion, EverNote, 메모장등 개발스타일 가이드 및 개발 문서를 작성시 유용한 사이트로 ..

Xms: 초기 Heap 사이즈 Xmx: 최대 Heap 사이즈 XX:ReservedCodeCacheSize: 코드 캐쉬 사이즈 Heap 메모리 사이즈와 공유하지 않는다. XX:+UseG1GC: G1GC 가비지 컬랙션을 사용한다. XX:MetaspaceSize: Java8 이상의 Permanent 영역 사이즈 XX:MaxMetaspaceSize: Java8 이상의 최대 Permanent 영역 사이즈 XX:+UseCompressedOops: 64비트 JVM에서 압축 참조를 사용 가능 XX:MaxGCPauseMillis: GC로 인한 최대 중단시간을 명시 XX:ParallelGCThreads: 다중 GC를 위해 사용되어질 GC 스레드의 수 XX:ConcGCThreads: 동시적 CMS 단계가 동작할때에 사용할 ..

ENTJ 특징 “대담한 통솔자” 통솔자형 사람은 천성적으로 타고난 리더입니다. 이 유형에 속하는 사람은 넘치는 카리스마와 자신감으로 공통의 목표 실현을 위해 다른 이들을 이끌고 진두지휘합니다. 예민한 성격의 사회운동가형 사람과 달리 이들은 진취적인 생각과 결정력, 그리고 냉철한 판단력으로 그들이 세운 목표 달성을 위해 가끔은 무모하리만치 이성적 사고를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ENTJ는 인구의 단 3%에 해당하는 유형입니다. ※ MBTI 검사는 최소 2회이상 받아야 자신의 정확한 유형이 나온다고 합니다! >> MBTI 성격유형검사 다시 하러가기 통솔자형 사람은 크든 작든 성취 가능한 도전에 매력을 느낍니다. 이들은 충분한 시간과 자원만 있으면 그 어떤 것도 실현 가능하다고 믿습니다. 이것이 통솔자형 사..

윈도우 탐색기는 기본적으로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실행이 됩니다. 탐색기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해도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만 실행이 되는데요. 탐색기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작업관리자의 탐색기의 권한 스크린샷입니다. 승격됨 열을 보면 [아니요] 로 표시되어 있네요. 승격됨 열이 보이지 않으면 열에서 우클릭해서 열 선택후 승격됨에 체크하세요. 탐색기 프로세스(explorer.exe)를 마우스 우클릭해서 작업 끝내기를 클릭하세요. 프로세스 종료 확인 메세지가 나옵니다. 프로세스 끝내기를 클릭하세요. 작업관리자 파이 메뉴에서 새 작업 실행을 클릭하세요. explorer.exe /nouaccheck 를 복사하고 붙여넣기 하세요. 아래에 있는 관리자 권한으로 이 작업 실행에 체크..

개발중 프로세스를 종료하지 않고 개발툴을 종료할경우 프로세스가 살아있어, 동일 포트로 Run을 진행할경우 에러가 나는 경우가 종종있다. 이때는 특정포트를 확인하여 해당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강제종료를 진행할 수 있다. 먼저 Cmd 또는 Power Shell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 netstat -ano | find "8088" 이후 확인된 pid로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taskkill /pid 25048 /f

웹페이지가 로딩되는 순서를 알아보도록 하자. 왜 이게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바로 최적화 문제이다. 하지만 모두 다 설명하려면 엄청난 시간이 걸리게 되니 정말 간략하게 소개하려고한다. 위는 픽셀 플로우(fixel flow)라고 불리우는 순서이다. 이는 전반적인 웹이 로딩이 되는 순서라고 보기에는 그렇고 웹이 동작하는 도중에 어떻게 웹이 동적이게 바뀌는지를 알려준다. 1.JavaScript - 맨 먼저 js가 동작하면서 html의 dom을 건드린다. 그리고 dom트리가 재구축된다. 2.Style - 건드린 dom의 style이 변화한다면(css, style) 마찬가지로 이 단계가 실시된다. cssom트리가 재구축된다. 3.Layout - 리플로우(reflow)라고도 부른다. style중에서 화면의 위치, 크기..

웹페이지가 로딩되는 순서를 알아보도록 하자. 왜 이게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바로 최적화 문제이다. 출처 - https://developers.google.com/web/fundamentals/performance/critical-rendering-path/ 위의 예시를 보자. 모든 페이지가 로딩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위나 아래나 동일하다.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페이지가 오랫동안 정적이다가 한번에 뜨는 것에는 불만을 크게 가지지만, 페이지가 계속해서 진행되면서 뜨는 것에 대해서는 관대하다. 그래서 보통 페이지의 최적화의 경우에는 성능개선도 크지만 맨처음 페이지가 뜰 때 페이지가 진행하면서 뜨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것 역시 아주 중요하다. 이에 관련된 용어도 있지만 이건 나중에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제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