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야생의숨결
- guide
- window10
- ubuntu
- 여행
- psql
- JS
- poe2
- 어드벤스
- 개발툴
- 공략
- 취미
- docker
- Linux
- 게임
- JavaScript
- 스쿠버다이빙
- PostgreSQL
- WebView
- 젤다의전설
- 다이빙
- 오픈워터
- 뱀파이어서바이벌
- 페오엑
- Front-end
- window
- hybride
- 엘든링
- 씨홀스
- 세부
- Today
- Total
목록Develop (118)
Rianshin
WebView.setWebContentsDebuggingEnabled(true) 위의 코드를 안드로이드 WebView setting 부분에 삽입후. 크롬에서 아래의 주소를 입력. chrome://inspect/#devices 이후 Remote Taget에서 디바이스 선택후 webview로그를 크롬 개발자 도구로 확인이 가능하다.
프론트엔드 혹은 백엔드 개발시에 웹서버를 쓸일이 종종 발생하는데. 노드JS를 이용하여 간단히 해결하는 방법도 있으나, 윈도우에선 오토셋이 더욱 편리하게 지원이된다. autoset.net/xe/ 오토셋 소개 AutoSet 유지보수 종료 안내 1. 오토셋에 대한 유지보수 계획이 없기에 사용자분들께 이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2. 현재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버전이 최종 버전이며, 더 이상의 업그레이드가 없 autoset.net 설치후 실행화면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설정 > 웹서버기본설정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위와같은 화면에서 홈디렉토리를 개발폴더로 지정하여 변경사항 적용을 누르면, 간단히 웹서버로 개발중인 프로젝트가 실행된것을 localhost 또는 127.0.0.1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ajax({ url: ".../api/test", type: "post", accept: "application/json",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data: JSON.stringify(param), dataType: "json", success: function(data) { // success handle }, error: function(jqXHR, textStatus, errorThrown) { // fail handle } });
Mixed Content: The page at ‘https://page.com‘ was loaded over HTTPS, but requested an insecure XMLHttpRequest endpoint This request has been blocked; the content must be served over HTTPS. http와 https의 통신을 한페이지에서 할경우 나오는데 아래와 같이 한줄 추가해주면 해결.
var myArray = ['a', 'b', 'c', 'd', 'e']; myArray.slice(0).reverse().map( function(a){ console.log(a) });
console 객체는 브라우저의 디버깅 콘솔(Firefox 웹 콘솔 등)에 접근할 수 있는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동작 방식은 브라우저마다 다르지만, 사실상 표준으로 여겨지는 기능도 여럿 있습니다. console 객체는 아무 전역 객체에서나 접근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징 문맥에선 Window, 워커에서는 WorkerGlobalScope이 속성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Window.console의 형태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console로 참조할 수 있습니다. console.log("링크를 열 수 없습니다") 메서드 console.assert() - 첫 번째 매개변수가 false인 경우 메시지와 스택 추적을 출력합니다. console.clear() - 콘솔의 내용을 지웁니다. console.count(..
자바스크립트 문서화를 위한 "jsdoc toolkit" 사용법 및 예제 1. jsdoc tookit-2.4.0.zip(현재 버전 기준)을 다운받아 적당한 위치에 압축을 해제한다. 2. jsdoc toolkit 실행 Mac OS 기준: 터미널 접근 후 해당 폴더(jsdoc tookit 루트 폴더)에 위치하여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java -jar jsrun.jar app/run.js javascript_doc_test.js(jsdoc을 활용해 변환시킬 *.js 파일) t=templates/jsdoc -d="out"(이와 같이 디렉토리를 지정(-d="out")하면 현재 위치(jsdoc 루트 폴더)에 ".out" 폴더가 생성되며, 그 아래 index.html(root file), symbols(하위 fil..